버스 타고 오름 가기

자배봉 운지악 백리악(넉시악)

머털이가 2024. 5. 11. 18:40

☞경로 : 세천동(대원상동)정류장 - 자배봉 - 운지악 - 넉시악 - 의귀환승정류장
*버스 타고 갈 때 - 터미널에서 231, 232번 세천동정류장 하차(1시간 20분) .
*버스 타고 올 때 - 의귀환승정류장 231, 232번
♥반대로 진행해서 공천포에서 자리회를 맛볼 경우에는 신례2리교차로 정류장(신례로 쪽)에서 621(2, 4, 7)번 탑승, 하례2리입구에서 281번 환승해서 제주시로 오는 교통편을 추천함. 624번은 일주도로변 정류장으로 가는 편도 있음.
*11.5km, 상승고도 380m, 순 이동시간 3시간 이내

*오름 및 오름길 특징
- 대체로 길이 좋은 편임. 오름 연결로가 포장도로인 것이 흠임.
- 자배봉은 봉수대가 있었던 것처럼 전망이 좀 있으나 운지악 넉시오름 모두 전망이 없음.
* 자배봉
- 오름길은 잘 정비가 되어 야자매트가 깔려 있으나 굼부리 안의 길은 자연 상태이나 중하 정도로 괜찮은 편이나 일부 나무가 쓰러져 길을 막고 있으나 다닐 만함.
- 자배봉수터에서 한라산 쪽으로 제지기오름에서 월라봉 칡 영천악 및 그 뒤로 각수바위까지 조망되며, 바다 쪽으로도 전망이 트여 있음.
* 운지악
- 자그마한 오름이나 마을에서 포제단으로 이용하고 있어 오름길이 잘 정비되어 있고 최근에 나무계단을 새로 설치하고 전망대도 설치해놓기는 했으나 나무로 가려 제한적임.. 자배봉에서 연결로가 3km 정도의 포장로여서 다소 지루함.
* 넉시악
- 오름길은 대체로 무난한 편임. 과수원 한 쪽으로 진입하는 길이 다소 불편하나 숲 사이로 자연 오솔길로 뚫려 있어 무난한 길인데 태풍에 나무들이 넘어져 길을 가리는 경우가 많고, 과수원 쪽 출구가 많이 안 좋아짐.
- 전망은 전혀 없음.

구분해발비고별칭이름의 유래
자배봉211 .3111망오름자배낭(구실잣밤나무)이 많아서, 봉수대가 있어서
운지악113.524운주오름오름의 지세가 구름과 같다고
넉시악46.256백리악넋나간 소가 누워 있는 형세와 같다고(혼 백, 얼룩소 리)
백리악 세부도
운지악 세부도
자배봉 세부도
자배봉 굼부리
봉수대 터에서 본 바다 쪽 전망, 지귀도와 제지기오름 섶섬이 보인다

 

자생 식물원 매화
세오름 모두 자금우 백량금 자생지인 것 같다. 자배봉 굼부리 안 길.
자배봉수 터
자배봉 능선길에 있는 고인돌
자배봉 능선길
자배봉과 한라산
운지악 가는 길에서
운지악 입구, 정상에 포제단이 있다.
운지악 포제단
포제단 바로 뒤 정상 쯤에 있는 리본. 울타리 오름동우회라 되어 있다.
운지오름 입구의 쉼터
넉시오름 가는 길에서
백리악 가는 길에서 본 운지악
백리악 가는 길에서 본 백리악
백리악 기슭쯤에서 본 운지악과 저 멀리 자배봉
버스를 기다리며 의귀초등학교에서 한 컷
자배봉 운지악 넉시악__20200211_1057.gpx
0.25MB
자배봉 운지악 백리악__20210319_1205.gpx
0.4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