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타고 오름 가기

서중천 넙거리 사려니 이승악

머털이가 2021. 5. 19. 20:26

☞ 경로 : 한남교 - 서중천 - 내창길 -머체왓안내소 - 머체왓길 - (비코스) - 한라산 둘레길 - 사려니오름 임도 - 한남시험림안내소 - 넙거리 - 사려니오름 - (비코스) - 한라산둘레길 수악길 - 한라산둘레길 수악길 - (비코스) - 이승악 - 한라산둘레길- (비코스) - 수악교정류장

☞ 버스 타고 갈 때 : 터미널에서 한남리 경유 231(2)번 탑승 한남교정류장 하차(1시간 소요)

☞ 버스 타고 올 때 : 수악교 정류장에서 281번 탑승

☞ 18km 고도상승 900m  순 이동시간 5시간 반

☞ 오름 및 오름길

- 내창길(하천길) 포장로 임도 나무계단 칼바위?능선 비코스 등 다양하며, 하상에서 상하정도까지 수준도 다양하나 대체로 중중 정도는 됨. 비코스도 걸을만 함.

- 넙거리 사려니오름 이승악 등에서 일부 전망이 있는 정도이나 시원하지는 않음. 내창길은 용암이 흘러간 다양한 흔적이 있음.

* 서중천 내창길 

- 길은 하상에서 중중정도로 걸을 만은 함. 많이 이용을 하지 않아서 도중에 다소 헛갈릴 수가 있음.

- 전망은 없으나 용암이 흘러간 흔적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음. 새끼줄 용암, 용암수로, 용암바위 등

* 넙거리오름과 사려니오름 - 사전예약을 해야만 탐방이 가능함. 

- 오름길은 나무계단이나 데크 등으로 잘 정비되어 있음.

- 전망은 데크 전망대에서 일부 조망이 가능한 정도임.  넙거리는 바다쪽으로 조망이 가능한데 지귀도에서 시작 고이 생길이 제지기 걸세 칡 영천악 및 한라산 일부까지 보임. 사려니오름은 바다쪽으로  제지기오름에서 수악까지 보이며, 반대편으로는 궤펜이 물찻 붉은오름 거린악 저멀리 물영아리 영아리까지 조망이 가능함. 

- 전망은 전혀 없음

* 이승악 

- 동쪽에서 접근하는 능선길이 전에는 정비해서 안내 줄까지 만들어 놓았는데 최근에는 폐쇄해 놓음. 하지만 다니는데 불편할 정도는 아님. 길이 다소 험하기는 하지만 오르는 맛이 있음. 그외의 오름길은 나무데크나 계단 등으로 잘 정비되어 있고, 한라산 둘레길과 연결되어 길은 좋음. 거리와 시간을 줄이기 위해 비코스를 이용하는데 수악교 정류장까지 1.5km 정도는 트랙을 기준으로 방향을 잘 잡아서 가면됨. 길은 둘레길보다 나쁘지는 않음. 하상에서 중중정도.

- 전망은 정상에서 다목적 데크전망대를 만들어 놓아서, 한라산과 성널 논고악 등  일부 조망이 가능하나 시원한 맛은 없음. 다른 쪽으로는 거린오름과 사려니오름을 볼 수 있음.

구분 표고 비고 별칭 이름이 유래
넙거리오름 436.6 102 넉거리 광거악 오름 위가 넓고 평평하여
사려니오름 523 98 사랭이 사련악 사려놓은 모양(엉키지 않게 잘 감아 놓음)이어서
이승악 593 114 이슥이 이생이 살쾡이(제주어로 슥 식) 닮아서, 살쾡이가 많이 살아서

이승악 세부도
새끼줄 용암
서중천 한남리 안내판
서중천 내창길 입구
용암수로. 아래 사진처럼 숲길로 가면서 보는 것이 더 실감이 난다
용암바위, 동앗줄 용암?
머체왓숲길 가는 목장에서
넙거리 입구 데크
넙거리 전망대에서
넙거리전망대에서 한라산까지 보인다
넙거리에서 내려가는 나무데크
사려니 오르면서
사려니 정상에서, 제지기에서 수악까지 보인다
사려니정상에서, 궤펜이 물찻 붉은오른 거린악 물영아리 등이 보인다
안내소로 내려가는 사려니길 경사가 매우 급하다
이승악 동쪽에서 접근하는 능선인데 꽤 험하고 바위가 볼 만하다
이승악 정상. 전망대가 2층으로 개선되어서 날씨가 좋으면 전망도 괜찮을 듯.
이승악 정상 전망대에서, 거린악과 사려니오름
이승악 정상 전망대에서, 한라산. 오른편으로는 사라오름 성널오름 논고악 등이 보이는데 사진에는 없다. 앞에 보이는 오름은 동수악?
아라동에서 버스 기다리면서. 산딸나무꽃
서중천 넙거리 사려니 사려니자락 이승악__20210519_0920.gpx
0.37MB
서중천 머체왓 사려니남서쪽 이승악.gpx
0.5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