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로 : 남조로사려니숲길정류장 - 무장애숲길 - 사려니숲길 임도 - 궤펜이 - 샛궤펜이 - 섯궤펜이 - 표고재배사 - 넙거리 - 비코스 - 궤 - 비코스 - 재선충길 - 표고재배사 - 임도 - 사려니숲길 - 사려니숲길입구 정류장. *또는 궤 - 비코스 - 이덕구산전 - 4.3길 - 사려니숲길 - 비자림로 사려니숲길정류장
☞ 버스 타고 갈 때 - 터미널에서 231번 탑승 남조로 사려니숲길정류장 하차(45분 소요)
☞ 버스 타고 올 때 - 사려니숲길 입구정류장에서 212, 232번 탑승. 교래입구정류장에서 281번 탑승(1km 남짓 걸어가야 함)
☞ 13.5(13.2)km, 고도상승 580m, 순 이동시간 4시간(4시간40분). 2만보.
☞ 오름 및 오름길
- 섯궤펜이는 난대림연구소에서 관리하는 탐방제한 구간이고, 넙거리는 국립공원 안에 있는 탐방 제한 구간임. 사려니 숲길을 제외한 오름길은 대체로 하상에서 중하 정도이고 비코스 혹은 길이 애매한 경우가 꽤 있어 안 좋은 편임. 그러나 가시나무는 별로 없어서 비코스도 그런대로 걸을 만은 함. 섯궤펜이 정상 능선 일부와 넙거리 능선은 길은 나 있지만 특히 안 좋음. 넙거리 능선 끝 부분에서 헛갈리기가 쉬워 트랙에 유의하면서 진행해야 함. 특히 트랙3 의 경우 궤에서 이덕구산전까지 비코스인데 트랙에 유의하면서 걷기 좋은 곳으로 골라 가면 되는데 가끔 조릿대 숲을 지나는 곳들이 있음.
전망은 숲 사이로 일부 있지만 없다고 하는 것이 맞음. 궤펜이는 모두 원형 분화구이기는 한데 분화구 안에 나무가 빼곡해서 볼거리는 없음. 궤펜이 궤는 어느 열성 오름꾼이 밧줄을 매어 놓기는 했지만 궤로 들어가려면 조심해야 함. 2m 정도의 수직 낙하 구간이 있음. 표고재배 관리사에는 꽤 무섭게 생긴 검은 멍멍이가 지키고 있음.
- 성판악정류장에서 접근하는 경우, 접근로가 국립공원 지역 통제구간으로 유의할 필요가 있음. 조금 내려오면 진입로가 있고 바로 경고 표시판이 있음. 무려 과태료가 200만원 이하. 트랙은 그전에 사잇길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섯궤펜이부터 오르는데, 오르는 길이 뚜렷하지는 않으나 숲이 짙지 않고 가시나무가 별로 없어서 큰 문제는 없으며, 트랙을 대략 따라가면서 정상 진입 지점만 유의하면 됨.
구분 | 표고 | 비고 | 별칭 | 이름의 유래 |
궤펜이 | 792.1 | 167 | 궤펭이 고편악 | 오름 북동쪽에 동굴(제주어로 굴을 궤)이 있어, 한자 표기는 고편악 |
섯궤펜이 | 774 | 59 | 오름 셋 중에 가장 서쪽에 있어서 | |
샛궤펜이 | 757 | 37 | 궤펜이와 섯궤핀에 사이(샛)에 있어서 | |
넙거리 | 810 | 100 | 광가악 | 오름 위가 넓고 평평해서, 한자로 표기한 것이 광가 |



트랙2 궤펜이 오름 이후



















'버스 타고 오름 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머리오름) 법정악 어점이 시오름 치유의 숲 (5) | 2024.09.03 |
---|---|
시오름 미악산 (0) | 2024.08.14 |
(천아오름) 노꼬메 (0) | 2024.07.31 |
개오리 샛개오리 족은개오리 절물오름 족은절물오름 진물굼부리 거친오름 (0) | 2024.07.25 |
붉은오름 말찻오름 삼다수 숲길 (4)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