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로 : 곽지모우물 정류장 - 말젯과오름 - 샛과오름 - 과오름 - 올레길 - 애월공동묘지 - 고내봉 - 하르방당 - 고릉유사터 - 고내리버스 정류장
*(봉성리서성동정류장 어도오름 버들못 샛과오름 말젯과오름 밭작물연구단지 큰과오름 애월리공동묘지 고내봉 고내리정류장)
☞ 버스 타고 갈 때 - 터미널 202번 탑승 곽지모우물하차(45분 소요)
*터미널에서 291번 탑승 봉성리서성동정류장 하차(1시간 소요)
☞ 버스 타고 올 때 - 고내리버스정류장 202번 또는 270번
☞ 10km 고도상승 350m 순 이동시간 3시간
*12.5km 고도상승 370m 순이동시간 3시간 반
☞ 오름 및 오름길 : 과오름은 하하에서 중하 정도로 안 좋은 편이며 . 막혀 있던 서쪽입구도 지금은 다닐만하게 어느 열성 오름꾼이 닦아 놓음. 답사할 때 마다 나무하나라도 자르면서 봉사하는 마음이 절실한 오름임. 굼부리는 밭작물연구단지로 활용하그 있는데 출입금지는 아니고 일반인 출입자제로. 고내봉은 상중 정도로 잘 정비되어 있지만 고릉유사길은 거의 막히기 직전으로 이대로 가면 내년 장마철 이후로는 이용이 불가능할 정도. 과오름의 경우 벌초 후 3월까지 정도 추천. 과오름은 숲 사이로 일부 조망이 가능한 정도이나 고내봉은 전망대보다는 오히려 남쪽 능선길에서 보는 전망이 뛰어남. 어도오름은 길이 잘 정비되어 있는데 다시 재정비에 들어가는 듯. 정상 부근이 거의 비코스로 안 좋은데 거리가 짧아 별로 문제는 안됨
*트랙2는 보광사쪽에서 고내봉을 오르고 고릉유사터에서 옛길로 나가는 트랙임.
*말젯과오름
- 다음지도에 표시된 것은 샛과오름의 한 봉우리이고 광명사 북쪽에 있는 것이 말젯과오름. 농로 옆으로 조금 오르면 정상에 이르는데 크게 불편할 정도는 아님.
- 전망은 전혀 없음.
*샛과오름
- 말젯에서 빠져나와 농로를 거쳐 오름. 묘 이장하면서 길이 만들어진 듯. 능선길은 트랙터 길?로 하상 정도. 정상 부근은 공동묘지로 이용되고 있고, 길이 오히려 매우 안 좋은 편임.
- 정상에서 전망은 새별오름, 이달봉에서 비양도까지 조망됨.
*과오름
- 오름길은 예전에 잘 정비해 놓았지만 지금은 이용이 저조하여 하하에서 중하 정도로 안 좋은 편임. 서쪽 입구는 잡초 잡목으로 막혀 진입이 불가. 장마철 이후 11월 정도까지는 잡초 잡목을 이기기가 어려울 정도이므로 12월~ 3, 4월 정도까지 답사를 권함. 정비를 잘하면 아주 훌륭한 산책 코스가 될 수도 있는데 곽지해수욕장에 밀려서인지 마을이나 읍에서 관심이 없는 듯해서 아쉬움. 과오름 굼부리는 밭작물연구단지로 이용하고 있으며 출입을 통제하지는 않는 듯.
- 숲 사이로 조금씩 바리메 노꼬메 한라산 등이 드문드문 보이나 시원하지는 않음. 묘에서 숲사이로 산세미 천아오름 붉은오름 한라산 검은데기 노꼬메 등이 보임.
*고내봉
- 오름길은 잘 정비가 되어서 상중 수준으로 최고임. 단지 고릉유사터 탐방길은 관리가 소홀해서 하중에서 하상 정도로 나쁨. 고릉유사터에서 나올 때 그냥 트랙 따라 내려오는 것이 좋을 듯. 그전 길이 마지막부분에 철조망으로 막아 놓아서 그 위로 지나야 하는데 하중이나 하상정도로 안 좋음. 앞으로 정비 안하면 내년 장마철 이후부터는 탐방불가가 거의 확실시 됨.
- 전망은 고내봉 정상에 데크 전망대를 만들어 놓아서 사방을 조망할 수 있도록 했지만 뛰어나다고 할 수는 없고, 오름길 도중에 해송 사이로 보이는 한라산 쪽 전망이 아주 좋음. 고릉유사터는 가는 길 전망이 괜찮으며 고릉유사터도 잘만 다듬으면 좋은 볼거리가 될 수 있는데 방치되어 있는 느낌이라 아쉬움.
*어도오름
- 오름길은 중상에서 상하 수준으로 좋음 .자연 잔디길 혹은 나무데크, 나무계단 타이어 매트 등으로 단장됨. 단지 정비가 안 된 정상 주변은 하상 정도로 안 좋으나 거리가 짧아 별로 문제가 안 됨. 낡은 곳을 보수 혹은 교체 준비 중임. 구몰동을 거쳐 과오름까지 가는 길이 3km 남짓되나 크게 지루하지는 않음.
- 정상에서 전망은 전혀 없으나 기슭이나 굼부리로 접근하는 오름길에서 보이는 한라산 및 오름군은 감탄을 자아낼 정도.

구분 | 표고 | 비고 | 별칭 | 이름의 유래 |
말젯과오름 | 102.5 | 13 | 족은과오름 | |
샛과오름 | 100 | 60 | 샛오름 | |
과오름 | 155 | 85 | 큰오름 곽오름 와오름 곽악 | 성냥곽과 같다고 하여, 곽에서 'ㄱ'이 탈락하여. 소가 누워있는 모야이어서 와우봉에서 와오름으로 |
고내봉 | 175.3 | 135 | 고니오름 고노오름 망오름 | 고내리 마을이름의 전이되어, 봉수대가 있었던 데에서 |































'버스 타고 오름 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낭끼오름 뒤굽은이 돌믜오름 궁대악 (손지오름 - 2만보 산행) (3) | 2025.04.28 |
---|---|
북돌아진오름 괴오름 폭낭오름 왕이메 (괴수치 돔박이) (0) | 2025.04.23 |
서수모루 밧돌오름 (또는 거슨새미 안돌) 체오름 거친오름 가메옥 (2) | 2025.04.06 |
모지오름 따라비 (번널오름 병곳오름) 설오름 갑선이 (2) | 2025.04.02 |
(모슬봉)단산 금산 동알오름 송악산 (셋알오름 섯알오름) (1)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