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로 : 다랑쉬입구(북) 정류장 - (다랑쉬둘레길) - 다랑쉬 - 아끈다랑쉬 - 다랑쉬굴 - 용눈이 - 다랑쉬입구 손지봉정류장 ☞ 버스 타고 갈 때 - 터미널 211, 212, 221, 222번 탑승 대천환승정류장 환승(50분 소요) 810-1번(30분 간격) 다랑쉬입구(북) 하차(20분소요) - 810-1번 터미널 시내버스정류장 탑승( 0830, 0930) 다랑쉬입구(북)하차(*아침 2차례만 직접 감) ☞ 버스 타고 올 때 - 용눈이 810-2번 탑승, 대천환승 정류장에서 211, 212, 221, 222번 환승. 또는 다랑쉬입구 손지봉정류장에서 211, 212 탑승 ☞ 11.1(14)km 상승고도 360(440)m, 순 이동시간 3시간(3시간 40분)
☞ 오름 및 오름길 특징 - 오르길은 다랑쉬 용눈이는 잘 정비되어 있으나 아끈다랑쉬는 억새철에 많이 다녀 괜찮음. - 전망은 모두 최고 수준임. 다랑쉬 손지봉의 전망이 뛰어남.
*아끈 다랑쉬 - 오름길은 억새밭 사이로 나있으나 정비가 되지 않아 상태가 나빠지고 있었는데 억새철이 되면서 많이 찾으면서 다행히도 많이 좋아짐. - 전망은 오름이 낮아 뛰어나지는 않지만 볼만한 편임. 오름의 굼부리 자체가 아까움(작고 귀여움). *다랑쉬 - 오름길은 잘 정비되어 있지만 경사가 급해서 꽤 힘든 편임. - 전망은 최고 수준이며, 굼부리가 장관임. 굼부리를 보면 오름의 여왕이라는 칭호에 걸맞음. *용눈이오름 : 휴식년제가 해제되었으나 능선 순환은 통제되고 정상까지만 가능. - 오름길은 잘 정비되어 있고 경사도 완만해서 아주 좋음. - 전망 역시 최고 수준이며, 굼부리가 특이함. * 다랑쉬 둘레길 : 3km 정도의 다랑쉬 둘레길도 임도이면서도 괜찮음.
구분
표고
비고
별칭
이름의 유래
용눈이
247.8
88
용와악 용유악
굼부리가 용이 누웠던 자리 같다고 하여
다랑쉬
382.4
227
월랑봉
달처럼 둥글게 보인다고, 높은 봉우리라는 의미로(달+수리), 굼부리 안에 돌랭이(조그만 땅 뙤기)가 있었다고하여,
아끈다랑쉬
255.8
76
새끼다랑쉬
버금 둘째의 의미인 아끈이 붙어 다랑쉬 새끼라고
용눈이 굼부리와 한라산다랑쉬 둘레길에 이런 편백숲도 있다다랑쉬 오르는 도중 전망대 쉼터에서 본 아끈다랑쉬. 지미봉 우도 두산봉 알오름 식산봉 일출봉 은월봉 소왕산 대왕산 대수산봉다랑쉬 정상 가는 길에서 본 한라산다랑쉬 굼부리아끈다랑쉬에서 본 바다쪽 조망아끈다랑쉬에서 본 억새와 어우러진 높은오름 한라산 다랑쉬용눈이 굼부리용눈이에서다랑쉬 오르는 길 중턱 쉼터에서 본 아끈다랑쉬 및 전경. 지미봉 두산봉 식산봉 일출봉 은월봉 등.다랑쉬 입구다랑쉬 둘레길다랑쉬굴다랑쉬굴에서 용눈이 가는 길에서 본 용눈이 능선용눈이 가는 길에서 뒤돌아 본 다랑쉬와 아끈다랑쉬용눈이 정상에서용눈이 정상에서. 용눈이 오름은 사유지 목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