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로 : 오설록티뮤지엄정류장 - 올레14-1코스 -임도 -문도지 - 임도 - 마중오름 - 저지오름 ( - 마오름 - 송아오름 - 이계오름 - 가메창 - 제주서부신협정류장) - 저지리정류장
☞ 버스 타고 갈 때 - 터미널에서 282번, 250번대 버스 동광환승정류장 하차(50분 소요) 동광환승정류장2에서 820-2, 771-1,784-1번 환승, 오설록티뮤지어 하차(10분) 또는 820-2번 제주도청 신제주로터리 정류장(0826, 0926), 한라병원(0832, 0932) 탑승, 오설록티뮤지엄 하차
☞ 버스 타고 올 때 - 저지리(제주서부신협)정류장에서 771-1, 784-1번, 820-1번 탑승 동광환승정류장 하차, 282번, 250번대 버스 환승
☞ ① 14.8km, 고도상승 450m, 순 이동시간 3시간 40분 ② 16km 고도상승 510m 순 이동시간 4시간 20분
☞ 오름 및 오름길 특징
- 하하(송아,이계)에서 상상(저지오름)까지 다양함. 오름 연결길은 포장로가 많으나 지루하지는 않음. 송아 이계오름은 4월이내 탐방 권함. 그이후는 불가능할 수도 있음.
- 문도지오름 외에 전망은 그저그런 정도. 가메창은 없음.
*마중오름
- 재선충 트랙터 길과 연결되어 길이 나있기는 하지만 야생 산딸기나무가 급속히 자라고 있어 지금은 중하 정도이나 언제 하하 혹은 탐방불가 수준으로 떨어질지 모름. 문도지 쪽에서 오르는 길은 그나마 나은 편임. 모름지기 다닐 때 마다 열심히 다듬어 주어야 될 듯.
- 정상에서 전망은 금오름에서 도너리까지 거느린 한라산을 조망할 수 있으나 나무가 자라면서 점차 가려지고 있음.
*저지오름
- 오름길은 매우 좋음. 재선충길도 산책길로 포함시켜 야자매트를 깔아 놓았음. 분화구로 연결된 계단이 꽤 급함.
- 전망은 둘레길 군데군데에서 숲사이로 얼핏 보이는 정도, 데크전망대와 정상 전망대에서는 그나마 나은데 정상 전망대가 수리하지 않고 1년 넘게 방치, 출입금지.
*마오름
- 정상으로 접근로는 폐원된 과수원을 정리 개간한 밭 오른편 묘지길로 가면, 바로 정상에 이름. 전의 야자수밭길로 접근 해서 돌아나올 수도 있지만 하중 정도로 안 좋음. 입구에 있는 밭을 공원?으로 조성하고 있는 듯. 혹 후에 출입을 통제할 수도.
- 일부 한라산 쪽 조망은 가능함.
*송아오름
- 트랙터길을 따라가는데, 정상 직전에 50m 정도가 억새밭에 가시나무가 어우러져 뚫고 가기가 쉽지가 않은데, 많이 다듬어 놓았음. 내년 4월정도까지는 이용 가능할 듯. 정상에서 원점 회귀하는데 도로로 그냥 나올 수도 있고 농경지를 건너 용선달리로 나갈 수도 있음. 길을 다듬을 성의가 없다면 건너 뛰는 것을 추천함.
- 정상에서 일부 조망은가능하나 문제는 정상 접근이 쉽지 않음.
*이계오름
-재선충길로 길이 나 있었는데 다시 야생산딸기 가시나무가 길을 막아서 도로 중간에서 뚫고 올라가는데 길은 역시 좋지 않고, 4월경까지 추천. 갈 때마다 열심히 다듬지 않으면 하하 혹은 접근이 불가능할 수도 있음.
-정상에서 일부 조망이 가능함.
*가메창
- 오름 접근로는 중하 정도 수준이나 능선에서 분화구로 연결길은 지금은 하중 정도 수준. 돌아나옴.
- 분화구를 배경으로 저지오름의 조망이 가능함. 옆 농장 주인이 오름인지도 모를 정도이나 사실 잘 다듬고 분화구 둘레길을 만들어 놓으면 나름대로 빛이 날 수도 있음. 저지오름과 바로 접해 있으며, 비고가 6m이지만 굼부리는 꽤 넓고 깊음.
구분 | 표고 | 비고 | 별칭 | 이름의 유래 |
마중오름 | 168.6 | 44 | 마종이 | 등에 안장을 진 말이 북쪽을 향해 누워 있는 모양과 비슷해서 |
저지오름 | 239.3 | 104 | 닥모르오름 새오름 | 종이를 만드는 닥나무가 많이 있다고 해서, 새의 주둥이와 비슷하다고 해서 |
마오름 | 122 | 27 | 마악 | 말과 비슷하게 생겨서 |
송아오름 | 104 | 29 | 송악 | 소나무가 많이 자랐다고 해서, 송아지와 비슷하다 해서 |
가메창 | 145.8 | 6 | 암메 | 가마의 밑바닥과 같다고 해서(암메는 이러한 모양을 이르는 말) |
이계오름 | 167.7 | 28 | 離鷄악 | 새(저지오름)와 떨어져 있는 닭이라는 데에서 |
문도지 | 260.3 | 55 | 문돗지 문도지악 | 풍수설에 죽은 돼지 형세라고 해서 |

















<오설록에서 마중오름 입구까지>











'버스 타고 오름 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삼봉 삼의악 소산오름 (또는 )권제오름 (1) | 2024.11.07 |
---|---|
천아오름 산세미 (0) | 2024.11.06 |
들레오름 삼의악 소산오름 권제오름 (3) | 2024.10.18 |
아끈다랑쉬 다랑쉬 돝오름 안친오름 (1) | 2024.10.17 |
열안지 걸쇠오름 (또는 눈오름 밝은오름)노루생이 검은오름 (7) | 202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