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타고 오름 가기

부대악 부소오름 골체오름 민오름

by 머털이가 2025. 3. 22.

☞ 경로 : 거문오름입구정류장 - 부대악 - 부소오름 - 부대악둘레길 - 골체오름 - 민오름 - 조천공동묘지 - 우진교차로 정류장
☞ 버스 타고 갈 때 - 터미널에서 211 221(2) 탑승, 거문오름 입구정류장 하차(40분 소요)
☞ 버스 타고 올 때 - 우진교차로 정류장에서 211 221(2)탑승
☞ 10.5(12)km, 고도상승 460m, 순 이동시간 2시간 50분(3시간10분)
☞ 오름 및 오름길 : 오름길은 잘 정비되어 있는 편이나 민오름의 경우 계절에 따라 안 좋아질 수 있고, 경사가 급함. 부대악과 부소오름은 사유지로 진입금지 표시판이 설치되어 찜찜함. 민오름 전망은 좋은 편, 골체오름과 부소오름은 나름대로 조망이 가능하나, 부대악은 전망이 전혀 없음.
* 부대악
- 오름 전체가 사유지고  진입금지 표시, 탐방을 제한하고 있음. 오름길은 중중이나 중하정도로 괜찮은 편임. 북쪽 내림길은 경사가 꽤 급함.
- 전망은 전혀 없음.
* 부소오름
- 오름길은 잘 정비되어 있어 중중에서 중상 정도로 좋은 편이며 기분 좋은 길인데 부대악으로 진입하는 곳에 진입금지 안내판이 있음. 임도와 연결되어 있는 둘레길도 아주 좋은데 안내판이 다소 헷갈림.
- 전망이 시원하지는 않지만 군데군데 숲사이로 조망이 가능한 곳이 있어 나름대로 주변 오름을 볼 수 있음. 거슨새미오름 까끄래기 산굼부리 등을 조망할 수 있음.
* 골체오름
- 굼부리를 한 바퀴 돌 수 있도록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으며, 체육시설이나 쉼터 등 편이시설이 잘 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개발을 염두에 두고 만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듦.
- 정상에서 거문오름, 웃바매기 우진제비 등을 조망할 수 있고 한라산 쪽은 민오름에 막혀 있음
* 민오름
- 오름길은 좋은 편은 아니나 나름대로 정비는 되어 있음. 길이 좁고 계절에 따라서는 잡목이나 잡초등으로 곤란을 겪을 수도 있음. 북쪽으로 오르는 길은 급경사로 꽤 힘듦.
- 정상에서 전망이 괜찮음. 서우봉부터 우진제비 알밤 웃밤 골체 부소 부대 거문오름 등 뿐 아니라 구좌 표선 등의 오름군락들을 조망할 수 있고, 따라비까지 보임.

구분표고비고별칭이름의 유래
부대악468.8109부대오름일본군 부대가 주둔?
부소악469.2129부소오름 새몰메 부대오름에 견주어, 아직 길들여지지 않은 말(새말)을 방목하던 곳에서
골체오름395.330망오름삼태기(골체)와 비슷해서, 망을 볼 수 있다 해서
민오름518118민악민둥산에서

저 멀리 거문오름입구 정류장이 보인다

부대오름 등산로
이제는 여기에 아래와 같은 진입금지 안내판이 붙어 있다.
부소오름 입구에서 본 부소오름
부소오름 둘레길(아마 3코스일 듯)을 따라가다 보면 바로 시내(천미천) 곁을 지난다
부소오름 정상 조금 지나서 보이는 전망. 거친오름 체오름 안돌 밧돌 거슨새미 칡오름 민오름 돌리미에 비치미까지 장관?을 이룬다.
부소오름 1코스 중턱 쉼터에서의 전망.
부대악 기슭 임도에서 본 민오름
골체오름에서 본 거문오름
골체에서 본 민오름
민오름 기슭에서 본 골체와 부대악
민오름 북쪽에서 올라가는 길. 경사가 매우 급하다.
민오름 중턱에서 되돌아본 거문오름과 아래의 골체오름. 골체처럼 생긴 굼부리가 뚜렷이 보인다
민오름 중턱에서 본 부대악과 부소오름
민오름 정상에서 본 우진제비 알밤 웃밤
민오름 정상에서 본 거문오름과 아래의 골체오름과 가운데는 부대악의 일부
민오름의 복수초
복수초에 뒤를 이어 피고 있는 들꽃. 민오름에서. 노루귀?
조천공동묘지에서 본 민오름
조천공동묘지에서 본 우진제비와 웃바매기

부대악 부소오름 골체오름 민오름 250__20250203_1221.gpx
0.3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