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알 수 있는 글들48 살다 보면 여섯 ☞ 진화론의 유혹에서 * 평등주의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된 문화적 산물이 아니라 적절한 상황에 직면할 때마다 저절로 드러나는 유전적 자질이다. *여성들이 도덕적 범주에 포함될 때에는 아마도 그들이 남성의 지배에 저항할 수 있는 수단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일 것이다. *개인의 탁월한 능력은 당연히 존경의 대상이 되지만 그와 동시에 치명적인 죄악 중의 하나인 오만함을 초래하기 쉽기 때문에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소규모 사회는 내부로부터 전복을 막기 위한 방어책들로 가득한다. 첫번째 방어책이 소문이다. .....비판, 조소, 외면(따돌림), 추방, 최종적 수단이 사형이다. 2020. 3. 26. 살다 보면 다섯 ☞ 진화론의 유혹에서 - * 선과 연결된 특징들은 집단이 단일체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기여하는 반면에 '악'과 연관된 특징들은 집단을 희생시키고 개별 구성원의 이익에 기여한다. * 지나친 도외시란 뒤로 미룬 이익을 죽기 전에 거둬들일 가능성이 불확실하거나 낮다는 정보에 대해 '합리적'으로 반응한 것일 수 있다. '무모한' 위험 감수 또한 더 안전한 방법을 선택했을 때 따라오는 예상 이득이 하찮기 때문에 일어나는 최선의 선택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것은 아름답다고도 여겨진다. 만일 신체적으로 더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 싶다면 존경받는 사회적 파트너가 되어라. 2020. 3. 14. 살다 보면 넷 ☞ 헤닝 만켈 소설 외 여기저기서 - *좀 더 부드럽게 털어놓으려고 했지만 어쩌다 보니 멈출 수 없었다. 그리고 흥미로운 것은 그를 괴롭히고 싶은 내 마음이었다. 나는 잔인해지고 싶었다. *사실일까? 사실이라서 내가 그렇게 짜증이 났던 걸까? *너무 화가 나서 여기까지만 써야 할 것 같다. 더 썼다가는 뭔가 후회할 내용을 쓰게 될지도 모른다. *누군가 내말을 심각하게 들어준다고 생각하니 안심이 되고 고마웠다. 비록 그 사람이 바비라고 해도 말이다. *回頭一笑 百媚生 - 살다보면 한번 나에게 웃어 주기만 해도 기분 좋아지는 사람이 있다. 본래 의미는 장한가에서 양귀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이지만. *그녀는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것을 털어 놓지 않았지만 그만하면 충분히 얘기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모든.. 2020. 3. 6. 살다 보면 셋 ☞ 헤닝 만켈 소설 외 여기저기서 *나쁜 동화는 빌어먹을 단순한 도덕성을 담고 있어, 위대한 동화는 진실을 말해주는 거고 *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지 않고는 절대 그 사람을 이해할 수 없어 *함부로 추측당하지 않고 무시당하지도 않는 그런 곳들 *그 때는 몰랐지만 이미 늦어버린 뒤였다. 나는 아버지를 내면화했고, 받아들였고, 내 무의식 깊이 묻었다. 아무리 멀리 달아나도 내가 가는 곳마다 아버지를 데려갔다. *삶을 단순히 내가 원하는 방식 대로가 아니라 실제로 벌어지는 대로 인식해야 했다. *어떤 식이든 적대감과 경쟁심은 일하는 데 방해가 돼. *여기서 일한다고 미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도움은 된다. *당신도 알겠지만 대부분의 의사소통은 대화가 아니에요. *말을 꺼내 텅빈 공간을 채우려는 충동을.. 2020. 2. 20. 살다 보면 둘 ☞ 헤닝 만켈 소설 외 여기저기서 * "제 실책을 빌미로 다른 사람들의 실책이 정당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오십보백보'라는 말 특히 싫다. 특히 백보가 오십보를 비난할 때. * "자네 말이 맞아. 학교에서 실전을 다 경험할 수는 없지. 아무리 좋은 학교를 다녀도 마찬가지야." * "친절하고, 보기 좋게 그을린 피부에 늘 미소를 짓고 있는 남자야. 게다가 아주 세련되게 옷을 입지. 괴물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법이야." * "내가 살아오면서 한 가지 터득한 게 있네. 친구는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원수는 가까이할수록 좋다는 거지." * 우리 범죄는 너무 사소해 보였고, 우리 행운은 너무 커 보였다. * 한 가지 잘못된 일을 저지름으로써 그 모든 일을 잘 할 수 있다고 .. 2020. 1. 15. 살다 보면 하나 ☞ 헤닝 만켈 소설 외 여기저기서 * 정직은 너무 과장되어 있는 면이 있다. * 인생에 후퇴란 없다. 문제는 다만 앞으로 더 나아갈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 뿐이다. * 행복은 창작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다른 사람의 자식 자랑은 지루한 것이다. * "현재와 다른 사회가 필요할지도 모르지, 비밀협정은 적고 공동체 의식은 높은 사회." * "나이가 든다는 건 외로워진다는 거요. 피할 수 없는 일을 기다리는 아주 긴 기다림이지." 2020. 1. 1. 이전 1 ··· 5 6 7 8 다음